示例#1
0
        /// <summary>
        /// <see cref="한글"/> 구조체의 인스턴스를 초기화합니다.
        /// </summary>
        /// <param name="문자"><see cref="한글"/> 구조체로 변환될 한글 문자입니다.</param>
        public 한글(문자 문자)
        {
            if (완성형한글여부(문자))
            {
                정수 니코드값 = 문자;
                니코드값 -= 0xac00;

                var 나머지 = 니코드값 % (모음갯수 * 받침갯수);

                자음 = (자음)(니코드값 / (모음갯수 * 받침갯수));
                모음 = (모음)(나머지 / 받침갯수);
                받침 = (받침)(나머지 % 받침갯수);
            }
            else
            {
                자음 = 자음.실패;
                모음 = 모음.실패;
                받침 = 받침.실패;
            }
        }
示例#2
0
 /// <summary>
 /// 지정한 텍스트에서 마지막 문자의 받침을 지정한 받침으로 치환합니다.
 /// </summary>
 /// <param name="문장">마지막 문자의 받침이 치환될 문자열입니다.</param>
 /// <param name="받침">치환할 받침입니다.</param>
 /// <returns>마지막 문자의 받침이 치환된 문장입니다.</returns>
 public static 문자열 받침치환(문자열 문장, 받침 받침)
 {
     var 마지막문자 = 문장[^ 1];
示例#3
0
 /// <summary>
 /// 지정한 문자의 받침을 지정한 받침으로 치환합니다.
 /// </summary>
 /// <param name="문자">받침이 치환될 문자입니다.</param>
 /// <param name="받침">치환할 받침입니다.</param>
 /// <returns>받침이 치환된 문자입니다.</returns>
 public static 문자 받침치환(문자 문자, 받침 받침) => (문자)받침치환(문자, (정수)받침);
示例#4
0
 /// <summary>
 /// <see cref="한글"/> 구조체의 인스턴스를 초기화합니다.
 /// </summary>
 /// <param name="자음">설정할 자음입니다.</param>
 /// <param name="모음">설정할 모음입니다.</param>
 /// <param name="받침">설정할 받침입니다. 기본값은 <see cref="받침.없음"/>입니다.</param>
 public 한글(자음 자음, 모음 모음, 받침 받침 = 받침.없음)
 {
     this.자음 = 자음;
     this.모음 = 모음;
     this.받침 = 받침;
 }
示例#5
0
 /// <summary>
 /// 한글의 자음, 모음, 받침을 한 문자로 조합합니다.
 /// </summary>
 /// <param name="자음"></param>
 /// <param name="모음"></param>
 /// <param name="받침"></param>
 /// <returns></returns>
 public static 문자 조합(자음 자음, 모음 모음, 받침 받침 = 받침.없음) => (문자)조합((정수)자음, (정수)모음, (정수)받침);